bim 알림/참고 LH 공동주택 BIM 설계도면 작성가이드, 2024-11-14 https://www.lh.or.kr/board.es?mid=a10402030000&bid=0027&act=view&list_no=721948&tag=&nPage=1 LH 공동주택 BIM 설계도면 작성가이드 | 주택기술품질자료 | 주택사업 | 사업소개 : 한국토지주택한국토지주택공사www.lh.or.kr 작업/ETC [ArchiCAD Study] 기초부 연습, 도면화 실험 지난 작업은 급하게 렌더링을 위해 거쳐야 하는 부분을 넘기고 작업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번 작업은 좀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 보려고 합니다. 지질이 상당히 좋지않아 하부에 지정을 박아야 하는 상황이고... 그래서 지정을 포함한 실제 정보를 담기위한 작업을 해보려 합니다. 도면화에 대한 여러가지 방법들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어떤 분께서는 아키캐드를 수동카메라에 비유하셨다고 하네요. 그만큼 많은 설정들이 있어 어떻게 만져 주느냐에 따라 결과는 천차만별 인것 같습니다. 역시 많은 시행착오와 노하우의 축적이 답인것 같습니다. 도면 표기방식등이 외국과 다름에 있어 세세한 부분들을 우리의 실정(?)에 맞게 세팅 하는 것이 관건인 듯 합니다. 적절한 절충... 수용해야 할 부분들에 대한 고민들... 그래도 점점 도면처.. 작업/ETC [BIM Study] Frank Lloyd Wright | Kaufmann House (Falling Water) *아직 마치지 못한 블로그 이동 작업 포스팅 입니다. *기존의 블로그에 있던 내용을 그대로 옮겨오기 때문에 씌여있는 글과 상황이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거장들의 작품들을 습작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설계 도구에 대한 테스트 이면서 거장들의 작품들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지요. 옛날 손도면의 자리를 밀어내고 캐드라는 시스템이 자리를 잡았듯... 이젠 BIM 툴들이 서서히 입지를 굳혀가고 있습니다. 저번 꼬르뷔제의 작은집에 이어 이번엔 라이트의 낙수장을 선택했습니다. 사실 그동안 낙수장에 대해 깊게 파고들어 본 적이 없던 터라 선택한 것이기도 하지요. 이 이미지는 모르는 분들이 없을 정도 이죠. 사진을 찍는 포인트... 항상 같은 사진... 마땅한 자료가 없어 겨우구한 평면과 인터넷에서 서핑한 사진들을 모아서 .. 작업/ETC [Bim Study] 아키캐드 작업과정 *아직 마치지 못한 블로그 이동 작업 포스팅 입니다. *기존의 블로그에 있던 내용을 그대로 옮겨오기 때문에 씌여있는 글과 상황이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순수 모델링 위주로 작업한 내용입니다. 렌더링을 해보기 위해서 몇가지 단계는 건너뛰었습니다. 눈에 보이는 부분만 작업을.. ^^;;;... 아직 문서화에 대한 부분은 스킬이 좀 더 필요한 듯 합니다. :: 대지조건 설정 [Mesh] 기본적인 지형들을 설정 [Grid Element] 중심선 [Story Setting] 층 레벨을 정리 [Morph] 주변 건물 :: 기둥, 주차구획 [Column] 각각의 기둥 사이즈에 맞게 작성하여 위치 [Object] with GDL 문득 GDL 연습을 해봤습니다. 그냥 어떤 거구나 감은 옵니다. 제대로 구현하려니 또 슬.. 작업/ETC [ACD Study] Le Corbusier | Une Petite Masion *아직 마치지 못한 블로그 이동 작업 포스팅 입니다. *기존의 블로그에 있던 내용을 그대로 옮겨오기 때문에 씌여있는 글과 상황이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꼬르뷔제의 작은집 연습입니다. 도면 한장 없이 만들어 가려니 여간 힘드네요. [관련글] 2019/09/17 - [알려드려요] - [서적] 르 꼬르뷔제 | 작은집 연습 초기에 했던 작업이구요. 결과물 보다는 실무에 써먹을 수 있기 위한 방법을 탐구하고 있는 중입니다. 1층 평면 입니다. 스케치 그대로는 아니구요. 제가 임의변경 해버린 부분도 있습니다. 거장에게 누를 끼치는 것일까요..? ^^;;;... 거장께서 누차 강조하신 건축적 산책을 볼 수 있습니다. 사실 빌라 사보아 정도는 되야 산책했다~ 라고 말할 수 있을거 같은데. 스케일은 작지만... 여기에.. 알림 AUTODESK & JUNGLIM Architecture BIM GUIDE 10여년 전부터 직간접 적으로 BIM 을 접해오면서 항상 갈구해 왔던 부분이 국내 실정에 맞는 템플릿이나 라이브러리 가 부족하다는 생각이었습니다. 실제로도 현업에서 사용되는 부분이 올인원 툴로서 사용된다기 보다는 구색맞추기 식의 부분적 사용만 되어져 왔다고 봐도 무방하다 봅니다. 강산도 변할 시간동안 BIM은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지금 시점에서는 2D 캐드의 자리가 BIM 으로 바뀌어 가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 앞서 언급했던 항상 부족하다 느껴왔던 부분이 오토데스크와 정림건축에서 공개한 가이드 북과 템플릿 으로 해결되어졌으면 좋겠습니다. 01. BIM GUIDE Book 가이드 북은 뷰어를 통해서만 보여지며 다운로드가 되질 않아 보입니다.100여 페이지(가이드북 파일 기준)에 가까운 내용을 웹으로만.. 이전 1 다음 Calendar « 2025/04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더보기 bim 블로그 사진 PLA 건축사 업무시설 건축 스케치 ㅁㅎㄱㅈ 문화공장 기용건축 건축사사무소 StudioZT 근린생활시설 도면 건축물 설계 컬쳐팩토리 디자인 ArchiCAD 법제처 단독주택 mhgz 건축설계 기적의도서관 아키캐드 국토교통부 ubac 책읽는사회문화재단 법규 Archives Visits Today Yesterday